본문 바로가기
60갑자

을축일주 (乙丑日柱)에 대하여

by Engage your life and make it fun 2022. 11. 27.
728x90
반응형

을축일주 (乙丑日柱)60갑자 중에서 음간(阴干)의 첫 번째 일주다. 음성적이다. 

진술축미(辰戌丑未)를 지지로 까는 사람들은 재물참고(财务仓库)를 가지고 있고 금고(金库)속에 다 집어넣는 인색한 면이 있고 부자가 많다. 하지만 육친(六亲)의 관계에서 흉화( 凶祸)가 많고 육친을 묘지에 넣은 육친의 불리한 점이 많다. 

축은 금의 고지(库地)다. 재물을 입고하는 형상이다. 진술축미 지지를 두는 사람들이 금은 입고하고 을목이 겨울 동토( 冻土)에서 자라기에는 쉽지 않고 어렵게 돈은 버는 경우이다. 

을축일주(乙丑)는 현재를 깔았다, 사업, 장사를 해서 번 돈이다. 큰 부자가 편재를 두는 경우가 많다. 을축을 돈벌기가 쉬울까요? 을목이 축토 ( 丑土)에 뿌리내기기가 쉽지 않고 축축한 습토에 차갑기까지 하는 토에 뿌리를 내리기가 쉽지 않다. 한습한 토지를 옥토를 만들어 성공을 한다.

을축일주 12운성은 쇠(衰)다. 쇠는 12신살(神殺)로 보면 반안살이다. 젊은 시절에 직장생활, 결혼해서 생활을 끝에 은퇴시대에서 원로의 존경을 받으면서 멋진 은퇴시기를 반안살( 攀鞍殺 )이라고 한다.

을축일주 지지에 지장간( 地藏干)에는 기토, 신금, 계수가 있다. 쇠궁(衰宫)기토재성이 쇠궁안에 록(禄)으로 반안에 앉아 있는 형상이다. 즉 록좌쇠궁(禄坐衰宫)이다. 을축은 을목을 짤라버리려고 해서 배우자와 좋은 사이가 어렵다고 한다. 재물은 어렵게 조금씩 잘 모으는 형국이다. 을축일주는 신금이 재성에 있어서 여명인 경우 시모한데 도움을 받겠지만 친해지기는 쉽지 않다. 

일축일주 관성은 쇠궁양좌(衰宫养坐)다. 양은 기를 양이다는 뜻으로 요양, 보살핀다는 의미다. 양(养)은 신살(神殺)로는 천살이다. 천살은 하늘에서 내리는 살로 거역할 수 없다. 을축일주 남편과의 사이는 특별한 사이로 나타난다. 을축일주는 입고, 입묘(入墓)의 현상으로 육친의 관계에서는 입묘라고 한다. 남편이 임묘형상으로 무덤속에 남편이 있는 형국이다. 사별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남편이 또한 아플 수도 있다. 남편이 주말부부일 수도 있다. 업상(业上)으로 대체하려면 활인, 종교쪽으로 직업, 활동을 하면 업상으로 대체가 되어 남편도 건강하고 부부관계도 좋을 수 있다. 을축직업이 교육, 종교, 활인의 직정이 접합하다.  

을축일주 인성은 관대로 쇠궁대좌(衰宫带坐)이다. 관대는 사모관대다. 머리에 쓰고 허리에 두를 대자이다. 과거급제있을 때 결환할 때 남자의 의복으로 관대라고한다. 복장이다. "사" 자 있는 사람, 교사, 교수들이 고집과 자신감에서도 자기도 모르게 다른사람을 가르키려고 하고 남이 해주는것을 너무 당연히 생각하는 인견적인 미성숙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을축일주 소유자는 노력파로 공부해서 관대로 살면서 베품과 성찰이 없이 살았다면 인격을 잘 살필 필요가 있는 사황도 있다. 물질적인 배품에 신경써야 대인관계가 편하고 풍성해 진다. 

을축일주 식상은 묘로 쇠궁묘종(衰宫墓從)이다. 을축일주 자녀와 특별한 인연이 있을 수 있고 보시를 많이하고 기도, 종교, 의약 계통에서 종사하면서 살면 업상이 대체되어 살이 원만해진다. 을축일주는 아플 수도 있다. 식상은 건강을 의미하므로 거렇다. 을축은 두통이 있을 수 있고, 곡각살로 뼈, 관절, 신경통을 달고 살 수 있다. 을목은 천무지리로 바람에 해당되므로 역마로도 본다. 을축일주가 많이 돌아 다닌다. 마음을 굴뚝같지만 몸이 따라주 못하여 괴로울 수 있다. 

을축일주 중에서 축이 오, 술운(戌运)이 올 때 탕화살 발동이 되어 감정조절에 신경써야 한다. 

축토가 한습토(寒湿土)라 신금이 있어서 을목이 살기가 힘들다. 부부지간에서 속으로 말 못한 배우자와 껄끄러운관계가 있을 수 있다. 아버지랑의 관계도 좋지 않을 수 있다. 축토 안에 신금이 있어서 그렇다. 시모와도 마찬가지로 불편한 관계로 보인다. 을축이 유금이 올 때 을목이 자기가 있는 터전에서 떠나야 되는 상황도 발생 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